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 필기

정보처리기사 강의 메타코드 5강 후기

5강은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활용으로 외워야 할 내용들 이였습니다.

전체적으로 개발방법론에 대해서 설명을 해줬는데, 폭포수 모델, 나선형 모델이 있는데, 개발을 하다가 수시적으로 변경을 해줘야한다면 폭포수 모델 방법론, 그렇지 않다면 나선형 모델이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전체적인 틀을 설명해주니 실제 현업 업무에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요구한 시스템을 완벽하게 분석한 후, 설계와 구현을 진행하고, 마지막에 테스트를 통해 오류를 수정합니다.
실제 사례로는 오래된 금융 시스템 개발이 해당되며, 예를 들어 은행의 회계 시스템을 폭포수 모델로 개발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유연성이 부족하고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초기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피드백을 받고, 점차 기능을 추가하면서 리스크를 분석하고 개선해 나가는 방식입니다.
실제 사례로는 대형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개발이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처음에 기본 기능만을 구현하고 점진적으로 고객 피드백을 반영하여 기능을 확장하면서 개발됩니다.

SDN 실제 사례로는  통신 회사들이 SDN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는 데 사용합니다.
PCoNet은 고속의 전용 연결을 통해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원활하게 연동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실제 사례로는 IBM의 클라우드 서비스나 마이크로소프트의 Azure ExpressRoute가 PCoNet을 사용하여 고객에게 안전하고 빠른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합니다. PCoNet을 통해 기업은 공용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고도 더 높은 수준의 데이터 보안과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메시 네트워크: 저비용 지역에서 인터넷 접속이 어려운 경우, 메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여러 기기가 서로 연결되어 인터넷을 공급하는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구글의 Project Loon과 같은 프로젝트가 메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원거리에서 인터넷 연결을 제공합니다. 이 기술은 특히 인터넷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네트워크 구축 관리에는 사물인터넷 등등 많고
nfc는  모바일 결재나, 교통 카드에서 사용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네트워크 구축 관리 관해서 필요한 내용만 딱딱 적혀있어서 외우기에 편한것 같습니다.

 
맵리듀스란? 구글은 웹 페이지의 색인 작업을 맵리듀스를 이용해 처리하며, 각 웹 페이지를 개별적으로 분석한 후, 결과를 합쳐서 검색 결과를 생성합니다. 하둡에서는 이 방식을 활용해 대용량 데이터를 분석하고 처리합니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는 사용자 시청 기록을 분석하여 맞춤형 추천 시스템을 만들 때 맵리듀스를 사용합니다. 이처럼, 맵리듀스는 대규모 데이터셋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참고: 데이터 마이닝이란?
고객의 구매패턴을 분석해서 개인화된 상품추천.-데이터 마이닝의 응용사례
 
이제 마저 필기 풀이 들으러 가야겠습니다 
 
정보처리기사 강의 바로가기 클릭:

메타코드 장학생 선발생으로 강의내용 후기 진솔하게 작성하였습니다.